미국의 전문가들이 다음달 9일로 예정된 한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진보 성향의 후보가 당선될 경우 한미동맹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오늘 보도했다.
미국의 민간단체 랜드연구소의 마이크 마자르 선임연구원은 차기 한국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북한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 공조관계가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소리 방송에 따르면, 마자르 선임연구원은 20일 랜드연구소가 주관한 회의에서 “한국에서 진보 성향 정당의 후보가 승리할 경우 (미국과 한국의 북한문제 해결 공조에) 매우 어려운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했다. 마자르 선임연구원은 “북한정권을 ‘악의 축’으로 규정했던 부시 대통령은 북한과 대화하겠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이해하지 못했다”며 “이 때문에 부시 대통령은 취임 초기, 한국과 마찰을 빚었다”고 했다. 마자르 선임연구원은 현재 강경한 대북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한국의 진보 성향 정권이 북한 문제에 있어 큰 혼선을 빚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진보 성향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에 나설 경우 미국의 대북 정책(옵션)에 심각한 손상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랜드 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도 “현재 한국의 대선 후보 중 한명이 개성공단을 빠른 시일 내에 재가동할 뜻을 분명히 밝혔다”며 “이는 지난해 북한 핵실험에 대한 대응으로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으로, 이로 인해 미국과 한국의 동맹관계는 잠재적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